400년 구국과 나눔의 구림대동계 재건,계승 신분 구분 없이 모두 참여한 민주자치 450년[헤럴드경제=함영훈 기자] 영암 연주현씨 사직공파의 현건(1572~1656), 현덕승(1555~1627)은 민간의 리더로서 충무공 부대에 필요한 물자를 조달하는 군수 업무를 자발적으로 도맡았다.
충무공의 인척이기도 했기에, 집안살림을 쾌척하는 것은 물론 대동계의 리더로서 나라를 지키기 위한 지역공동체의 수군 지원 조달캠페인을 이끌기도 했다고 전해진다. 원본보기 영암 연주현씨 사직공파 종가 입구에 세워진 충무공의 ‘약무호남 시무국자’ 표석
이들은 충무공과 수많은 편지 소통을 했는데, 이순신장군의 친필 편지를 모은 ‘서간첩’은 국보 76로 지정돼 있다. 현씨 가문에서 장군을 후손에게 전해준 이 편지모음은 현재 현충사에서 관리하고 있다.
편지중에는 그 유명한 ‘若無湖南 是無國家(약무호남 시무국가: 호남이 없다면, 나라도 서지 못한다)’는 내용도 기록돼 있다. 종가는 이 글귀를 종택 입구에 큰 표석으로 세웠다. 원본보기 영암 연주현씨 사직공파 회사정. 구림 대동계의 중심 시설로서 구국과 지역발전을 위한 크고 작은 회합과 행사가 열렸던 곳이다. [남도일보]
영암 상대포와 구림마을은 이 고을을 대표하는 찬란한 문명의 국제 전파, 더불어 함께 잘 잘기 위한 대동계의 표상이다.
영암 구림에 입향한 현윤명의 증손자 현건(1572~1656)은 먼저 살고 있던 다른 가문이 창립한 구림 대동계가 전쟁의 혼란 등으로 힘겨워지자, 이를 재건해 동장으로 추대됐다. 원본보기 상대포구의 상대정. 왕인박사,도선국사, 충무공의 자취가 남은 곳이다. 국제무역 중심, 청해진 관문이기도 했다. 배는 왕인 박사 일행이 일본에 문물을 전하기 위해 타고갔던 배 모형. [남도일보]
종가에 따르면,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의 수군에 전쟁 물자를 공급했으며, 전후에는 주민의 ‘화민성속(化民成俗·백성을 교화하여 좋은 풍속을 이룸)’과 교육에 힘썼다. ‘연주현씨 사직공파 종가’는 전남 영암군 군서면의 구림마을에 뿌리내려 이웃과 400년 동고동락했다.
연주현씨는 조위총의 난을 평정한 평안도 영변의 호족 현담윤을 시조로 삼으며, 12대손 현윤명(1420~?)은 1450년경 천안에서 영암 구림으로 내려와 3대 현감 집안 난포박씨와 혼맥을 맺으면서 사직공파 종가를 열었다. 원본보기 영암 연주현씨 사직공파 종가 모습
당시 구림마을은 진도·완도·제주로 가는 바닷길목이자 일본·중국으로 통하는 국제 포구였던 ‘상대포’를 끼고, 도예 가마터 등 산업단지를 품었다.
‘낭주골 처녀’ 노래에 나오는 낭주최씨를 비롯, 죽정서원의 함양박씨, 서호사의 창녕조씨, 동계정의 해주최씨 등 성씨들이 부락을 이루었는데, 그 중 나주목사를 지낸 선산 임씨 임구령이 입향해 간척으로 조성한 ‘지남들’ 농토가 마을의 경제기반이 된다. 선산임씨 장남 임호(1522~1592)와 함양박씨 박규정(1498~1580) 등이 중심이 돼 1565년 구림대동계를 창립한다. 원본보기
영암 연주현씨 사직공파의 죽림정. 숙종이 하사한 회화나무가 있다. [남도일보] |